소 158. 이 글에 이의나 추가 정보가 있으시면 쪽지나 댓글을 남겨 주세요. |
字는 중린(仲麟), 號는 두포(杜浦), 판서 강(絳)의 아드님이시다. 1660년(현종 1) 진사(進士)가 되고, 1662년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설서(說書). 정언(正言). 지평(持平) 등을 지냈다. 1674년 헌납(獻納), 이조좌랑(吏曹佐郞)을 거쳐 이 해 숙종이 즉위한 후 이조정랑(吏曹正郞)에 오른 뒤 이어 부수찬(副修撰). 종성부사(鍾城府使).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역임했다. 1681년 대사간, 공충도(公忠道)와 함경도의 관찰사를 역임, 1683년 도승지(都承旨), 이듬해 형조 참판(刑曹參判). 대사헌, 이어 이조참판. 광주유수(廣州留守).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을 지내고, 1694년 병조판서로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 이듬해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지경연사(知經筵事) 등을 겸임했다. 이조판서에 이어 1696년 공조 판서. 좌참찬(左參贊). 우의정이 되고 이해 좌의정에 올랐다. 1698년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고,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를 거쳐 행판중추부사(行判中樞府事)로 죽었다. 온건한 성품으로 당화(黨禍)를 입지 않고 숙종의 측근자로서 총애를 받았다. 배위는 南陽洪氏이시며 文府使 서(恕)의 따님이시다. 묘소는 南陽 禾尺面 松林 亥原에 合葬으로 모셨다. 判書 趾仁의 撰表가 있다. 현종(顯宗)3년(1662년), 증광시(增廣試) 병과10(丙科10) 현종(顯宗) 1년 (1660) 경자(庚子) 증광시(增廣試) 진사(進士) 3등(三等) 65위 계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