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평윤씨 자료/파평윤씨 자료

선조(先祖)의 문집(文集)

물텀벙 2008. 2. 15. 18:44

 

선조 문집(先祖 文集)

 

 

※ 국간집(菊磵集)

 서지사항 : 윤 현(尹鉉) 저. 3권 2책(119판). 활자본.

 저자소개 : 윤 현(尹鉉 1514 ~1578) 자는 자용(子用), 호는 국간(菊磵). 본관은 파

            평(坡平-昭靖公派). 시호는 충간(忠簡). 사가독서 후 지돈령부사(知敦寧

            府事)에 이름.

 문집구성 : 저본은 질자(姪子) 안성(安性)이 1591년에 인행(印行)한 초간본.

 계    보 : 16 希齊 - 17 坰 - 18 輔商 - 19 英 - 20 鶴齡 - 21 鉉 - 22 知性 

※ 계구암집(戒懼菴集)

 서지사항 : 윤형로(尹衡老 1702~1782)저 14권 7책(571판) 활자본.

 저자소개 : 윤형로(尹衡老 1702~1782)의 자는 은수(殷?). 호는 계구암(戒懼菴).

            본관은 파평(坡平-太尉公派). 김간(厚齋 金幹), 박필주(黎湖 朴弼周),

            이재(陶菴 李縡)의 문하에서 수학.

 문집구성 : 조선 후기의 문인 계구암(戒懼菴) 윤형로(尹衡老)의 시문집. 활자본.

            증손인 수연(守淵)이 편찬·간행하였다. 잡시(雜詩), 서(書)와 변(辯),

            논어(論語) 중용(中庸) 차록(箚錄), 존성록(尊性錄)  원성편(原性篇) 상

            중, 하, 존성록 복성편(復性篇), 제문(祭文) 가훈(家訓)으로 되어 있다.

            책머리에 김병학(潁樵 金炳學)과 김학성(松石 金學性)의 서(序)가 있다.

 계    보 : 23 台重(泰重) - 24 諴 - 25 衡老 - 26 培彦, 塾彦, 致彦, 在彦.

※ 노서유고(魯西遺稿)

 서지사항 : 윤선거(尹宣擧) 저. 분량은 원집20권,속집3권,별집1권,부록2권 합13책.

            목판

 저자소개 : 윤선거(尹宣擧 1610 ~1669)의 자는 吉甫. 호는 美村, 魯西, 山泉齋. 본

            관은 파평(坡平-昭靖公派). 시호는 文敬. 金集의 門人. 宋時烈, 尹鑴 등

            과 교유.

 문집구성 : 조선 효종 때의 문신. 학자인 노서 윤선거(尹宣擧)의 시문집. 목판본.

            아들 증(拯)이 편찬하였다. 내용은 본집 시와 문장, 속집 3권은 율곡,우

            계연보(栗谷, 牛溪年譜), 신독재유사(愼獨齋遺事), 별집은 강도일기(江

            都日記), 부록 2권에는 노서의 연보가 수록되어 있다.

 계    보 :  21 暾 - 22 昌世 - 23 煌 - 24 宣擧 - 25 拯

※ 농은유고(農隱遺稿)

 서지사항 : 윤  추(尹  推) 저. 분량은 원집 4권· 별집 2권 합 3책. 활자본.

 저자소개 : 윤  추(尹  推 1632 ~ 1707)의 자는 子恕. 호는 農隱, 農窩, 聾窩, 靑松

            齋. 본관은 파평(坡平-昭靖公派). 兪棨의 門人.

 문집구성 : 고려 말과 조선 초기 두문동(杜門洞) 72현의 한 사람인 민안부(閔安富)의

            시문 및 행적을 수록한 책. 활자본. 4권 1책. 조선 후기에 편찬,간행된             것으로, 권1은 시(詩)와 서(書), 권2 이하는 부록으로 이루어져 있다.

            권2에는 행장(行狀), 묘표(墓表), 신도비명(神道碑銘), 숭절사봉안문(崇

            節祠奉安文), 어제부조현비(御製不朝峴碑), 전교(傳敎)와 고려명신전(高

            麗名臣傳), 여사유보(麗史遣補), 고려충신일사전(高麗忠臣逸事傳) 등에

            서 민안부와 관련되는 기사가 발췌 수록되어 있다.

            권3에는 유사략(遺事略), 관학통문(館學通文), 사도유장(四道儒狀), 개성

            유장(開城儒狀), 장계(狀啓) 등, 권4에는 규장각충의록(奎章閣忠義錄),

            승국명현표방록(勝國名賢標傍錄), 설천유고(雪川遺稿) 등이 각각 수록되

            어 있다.

            책머리에 김이양(金履陽), 이약렬(李若烈)의 서문이 있고, 책끝에 송흠대

            (宋欽大)의 발문과 민치량(閔致亮)의 중간발(重刊跋)이 있다.

 계    보 : 23 煌 - 24 宣擧 - 25 推 - 26 自敎, 可敎.

※ 동토집(童土集)

 서지사항 : 윤순거(尹舜擧) 저 원집6권, 부록, 속집 합3책 활자본

 저자소개 : 윤순거(1596~1668)의 자는 노직(魯直), 호는 동토(童土), 본관은 파평(坡

            平-昭靖公派). 성혼의 외손. 성문준(成文濬), 강항(姜沆), 김장생(金長

            生)에게 사사함.

            고향에서 학문에 정진하다가 51세 때 벼슬길에 나아가 영월군수(寧越郡

            守), 상의원정(尙衣院正) 등을 지냄.

 문집구성 : 저본은 원집, 부록은 저자의 손(孫), 질(姪)이 수집, 편차한 후 1741년

            철활자(鐵活字)로 인행한 것이고, 속집은 8세손 상작(相爵) 등이 1900년

            원집에서 빠진 시문을 편차, 중간하여 원집에 합부한 것임.  원집 1 ~ 4

            는 시(詩), 권5~6은 문(文)이고, 속집 권1은 시(詩), 권2~4는 문(文),

            권5는 부록임

 계    보 : 21 暾 - 22 昌世 - 23 燧 - 24 舜擧 - 25 晢, 搢, 指, 措, 잠.

※ 명재유고(明齋遺稿)

 서지사항 : 윤증(尹拯) 저. 분량은 보유(補遺)· 원집 46권· 별집 4권 합 26책 활

            자본.              

 저자소개 : 윤  증(尹  拯 1629 ~ 1714)의 자는 仁卿, 子仁. 호는 明齋, 酉峰. 본관

            은 파평(坡平-昭靖公派). 시호는 文成. 少論의 領首.

 문집구성 : 조선 후기의 문신·성리학자 윤증(尹拯)의 시문집. 활자본. 51권 26책.

            1732년(영조 8)에 종손 동수(東洙)가 편집, 간행하였다. 원집 46권 23책,

            별집(別集) 4권 2책, 목록 1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집 권1∼4는

            사(辭), 부(賦), 시(詩), 권5∼8은 소(疏), 장(狀), 서(書), 계(啓),

            권9∼29는 서(書), 권30∼31은 잡저(雜著), 권32∼46은 명(銘), 서(書),

            기(記), 발(跋), 축고문(祝告文), 서원축문(書院祝文), 묘표(墓表) 등이

            수록되어 있고, 별집에는 송시열(宋時烈)과의 왕복서독(往復書牘)이 실려

            있다. 당시의 정치사상연구, 인물연구와 사회동향 및 당쟁, 예송(禮訟)연

            구에 좋은 자료이다. 책끝에 종손 동수(東洙)의 발문이 있다.

 계    보 :  21 暾 - 22 昌世 - 23 煌 - 24 宣擧 -   - 26 行敎

※ 병계집(屛溪集)

 서지사항 : 윤봉구(尹鳳九ㆍ1683~1767)저 60권 30책(2496판) 활자본.

 저자소개 : 윤봉구(尹鳳九ㆍ1683~1767)의 자는 서응(瑞膺). 호는 병계(屛溪), 옥계

            (玉溪), 구암(久菴). 본관은 파평(坡平-昭靖公派). 시호는 문헌(文獻).

            권상하(權尙夏)의 門人. 강문팔학사(江文八學士)의 한 사람. 호론계(湖論

            系) 산림(山林).

 문집구성 : 저본은 1802년경에 인행한 초간본. 권1~4는 시, 권5~60은 문임.

            본집 1권 1~25. 본집 2권 26 ~ 51. 본집 3권 52 ~ 60.

 계    보 : 22 弘立 - 23 惟健 - 24 飛卿 - 25 明運 - 26 鳳九 - 27 心約

※ 석재고(碩齋稿)

 서지사항 : 윤행임(尹行恁 1762 ~ 1801)저. 분량은 원집 20권, 부록, 별고 21권 합

            21책

 저자소개 : 조선 후기의 문신(文臣). 본관은 파평(坡平-南原), 자는 성보(聖甫), 호

            는 석재(碩齋). 용안군(龍安君) 종주(宗柱)의 손자이고, 익찬(翊贊) 염

            (琰)의 아들이다.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 주서를 거쳐, 초계

            문신(抄啓文臣)으로 선발되어 규장각대교에 임명되었다.

문집구성 :  조선 후기 규장각에 재직했던 윤행임(尹行恁)의 시문집. 필사본. 20권 11

            책. 서문과 발문은 없으며, 시, 소, 계사(啓辭), 강의(講義), 서(書), 해

            동외사(海東外史), 강목수필(綱目隨筆), 제례도설(祭禮圖說), 내제수록

            (內制隨錄), 책(策), 제발(題跋), 잡저, 제문,금석수록(金石隨錄), 시장

            (諡狀), 행장이 수록되었다.

            시(詩) 중에서는 왕실의 단오절 풍경을 읊은 대전단오첩(大殿丹午帖)과

            두문동 72현의 충절을 기록한 방두문동(訪杜門洞)이 주목된다.

            이외에 저자가 규장각에 근무하면서 정조에게 강의한 내용을 기록한

            이문강의에는 사서(四書)와 삼경(三經)에 대한 학문적 깊이가 나타나

            있다. 편지 중에는 남공철(南公轍), 이덕무(李德懋) 등 당대의 석학들과

            주고받은 것이 많이 있다. 가장 돋보이는 것은 해동외사이다. 해동외사

            에는 기존의 인물전에 수록되지 못했던 중인과 평민 이하 계층에 대한 전

            기를 기록하였는데, 백대붕(白大鵬), 안용복(安龍福). 서산대사(西山大

            師) 등이 수록되었다. 잡저는 저자가 중국의 역사에도 해박했음을 보여주

            는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계    보 :

※ 석호유고(石湖遺稿)

 서지사항 : 윤문거(尹文擧) 저. 분량은 원집8권·보유 합4책(288판) 활자본

 저자소개 : 윤문거(尹文擧·1606 ~ 1672)의 자는 汝望. 호는 石湖. 본관은 파평(坡

            平 - 昭靖公派). 시호는 忠敬. 金集, 趙翼의 門人. 宋時烈, 兪棨와 교유.

 문집구성 : 본집은 순조연간에 활자로 인행된 초간본.

 계    보 :  21 暾 - 22 昌世 - 23 煌 - 24 文擧 - 25 搏 

※ 소곡유고(素谷遺稿)

 서지사항 : 윤광소(尹光紹 1708 ~ 1786)저 22권 11책(931판) 활자본

 저자소개 : 윤광소(尹光紹 1708 ~ 1786)의 자는 치승(稚繩). 호는 소곡(素谷). 본관

            은 파평(坡平 - 昭靖公派). 동토(童土) 윤순거(尹舜擧)의 현손(玄孫). 윤

            동원(尹東源), 윤동수(尹東洙)의 門人.

 문집구성 : 저본은 저자의 자편고를 5대손 교병(喬炳), 혜병(惠炳) 등이 교정하여 이

            성사림(尼城士林)의 협조를 받아 1915년 인행한 초간본. 권1~21은 문, 권

            22는 부록으로 행장, 묘비명, 제문, 기문록(記聞錄)이고, 발이 실려 있음

 계    보 :  23 燧 - 24 舜擧 - 25 절 - 26 智敎 - 27 東奎 - 28 光紹 - 29 晦基

※ 용서집(龍西集)

 서지사항 : 윤원거(尹元擧) 저. 분량은 원집5권, 부록2권 합 2책

 저자소개 : 윤원거(尹元擧 1601 ~ 1672)의 자는 伯奮. 호는 龍西. 보관은 파평(坡平-

            昭靖公派).

 문집구성 : 본집은 저자의 자 유(揄) 등이 가장초고(家藏草稿)를 바탕으로 수집 편찬

            하여 재종질(再從姪) 증(拯)이 산정(刪定)한 정고본을 1775년 족현손(族

            玄孫) 광소(光紹)가 목판으로 간행한 초간본이다.

계   보 : 19 倬 - 20 先智 - 21 暾 - 22 昌世 - 23 火+全- 24 元擧 - 25 拄, 揄, 拊. 

※ 일암유고(一庵遺稿 

 서지사항 : 윤동원(尹東源 1685 ~ 1741)저 6권 2책(191판) 목판본

 저자소개 : 윤동원(尹東源1685 ~ 1741)의 자는 사정(士正). 호는 일암(一庵). 본관은

            파평(坡平- 昭靖公派).

 문집구성 : 저본은 저자의 자 윤광집(尹光緝)과 족자(族子) 윤광소(尹光紹)가 가장초

            고(家藏草稿)를 바탕으로 수집, 편차한 것을 이후에 간행한 초간본. 권

            1 ~ 4는 문, 권 5 ~ 6은 부록으로 연보, 묘표음기(墓表陰記), 행장, 제문

            이 실려 있음.

계보 : 24 宣擧 - 25 拯 - 26 行敎 - 27 東源 - 28 光緝.

※ 포암집(圃巖集)

 서지사항 : 윤봉조(尹鳳朝 1680 ~ 1761)저 22권 11책 목판본

 저자소개 : 윤봉조(尹鳳朝 1680 ~ 1761)의 자는 명숙(鳴叔). 호는 포암(圃巖). 본관

            은 파평(坡平- 昭靖公派). 노론(老論) 준론(峻論).

 문집구성 :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윤봉조(尹鳳朝)의 시문집. 목판본. 22권 11책.

            서문, 발문, 부록 등이 없어 편집, 간행 경위가 분명하지 않다. 총목은

            없고 각 권마다 목록이 있다. 저자는 성균관 유생 때부터 노론계의 유생

            으로 활약했으며 관직생활 중에도 노론의 입장을 견지한 사람으로 소(疏)

            와 계(啓) 등 현실적인 문제를 다룬 글들이 많다. 상소문은 대개 사직소

            가 많으나 노론의 입장을 내세우는 내용들이다. 그의 상소 문체는 당시에

            도 높게 평가되었다. 위진사이덕보등소하제생재진변무소(爲進士李德普等

            疏下諸生再陳辨誣疏)는 노소분당(老小分黨) 당시의 소론의 잘못과 노론의

            옳음을 변무하는 글이다. 청문출죄인최석정원찬합계(請門黜罪人崔錫鼎遠

            竄合啓)와 청전참의조태억삭탈관직계(請前參議趙泰億削奪官職啓)>는 소론

            의 거두 최석정(崔錫鼎)과 조태억(趙泰億)을 몰아냄으로써 소론세력의 뿌

            리를 뽑고자 하는 노론의 당론을 대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서(書)는 일

            상적인 안부를 묻는 것 외에 한원진(韓元震), 윤봉구(尹鳳九) 등과 주자

            학 이론에 대해 주고받은 것들이 많다. 미발설(未發說)은 이기론(理氣論)

            에 관한 글이다. 잡저 중의 역학천견(易學淺見)은 유배 생활을 할 때 연

            구한 주역에 관한 것으로 도설로 되어 있다. 제문과 축문은 주로 노론계

            정치가, 학자들에 대한 것이다. 저자는 상소문 작성능력이 탁월하여 노론

            의 당세를 신장시키는 데 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에, 이 책은 노론계의 당

            론을 파악하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된다.

 계    보 : 22 弘立 - 23 惟健 - 24 飛卿 - 25 明遠 - 26 鳳朝 - 27 心宰

※ 명재연보(明齋年譜)

            조선 후기의 문신·성리학자 윤증(尹拯)의 연보. 활자본. 6권 3책. 문인

            들이 정리한 초본(草本)을 족증손(族曾孫) 광소(光紹)가 첨삭보완(添削補

            完)하여 1732년(영조 8)에 간행하였다.

            3책 중에서 상책은 연보, 중책은 부록, 하책은 후록(後錄)으로 되어 있

            다. 연보에는 윤증이 학행(學行)으로 천거받아 대사헌(大司憲), 우참찬

            (右參贊), 우의정 등 요직을 역임하고, 숙종 때에는 소론(少論)의 거두로

            서 송시열(宋時烈) 등 노론(老論)과 논쟁을 벌이다가 이에 패하자 은둔하

            여 후진을 가르쳤으며, 죽은 후 문성(文成)이라는 시호(諡號)를 받고 용

            계서원(龍溪書院), 노성서원(魯城書院) 등에 배향(配享)되었다는 사적이

            기록되어 있다.

 계    보 :  23 燧 - 24 舜擧 - 25 절 - 26 智敎 - 27 東奎 - 28 光紹 - 29 養基

※ 매촌유고(梅村遺稿)

            조선 중기의 학자 윤박(尹搏:1628~75)의 시문집. 필사본. 2권 1책.

            상권에는 시, 과제(科製), 서(書), 유사가 있다. 과제 금작속형론(金作贖

            刑論)은 “형률은 속전(贖錢)을 인정하면 유죄자를 징벌할 수 없고, 속전

            이 안 된다면 잘못을 저지른 자는 어떻게 처리 할 것인가?”라는 논지로

            부터 시작된다. 이어서 속전은 성인이 목숨을 아끼는[好生] 마음에서 시

            행한 것이지만, 말류의 폐단이 생겨 그 뜻과 거리가 멀게 되었다는 현실

            을 지적하였다. 서에는 할아버지이며 스승인 황(煌) 및 송시열(宋時烈),

            송시형(宋時瑩)에게 보낸 글이 있다. 선부군석호선생유사(先府君石湖先生

            遺事)는 아버지 문거(文擧)의 행적과 학문에 관한 것이다. 하권은 부록

            으로, 유사, 제문, 가장(家狀) 등이 있다. 유사는 사촌동생 윤증(尹拯)과

            아들 은교(殷敎)가 지었다. 유사에 이어 윤증과 은교가 각기 쓴 윤박의

            수학 과정과 학문을 밝힌 언행팔조(言行八條)가 붙어 있다. 일용과정(日

            用課程)은 윤박이 일상생활에 지켜야 할 수칙을 기록한 글이다. 과제와

            서의 사이에 수록되어야 할 것이 부록에 실려 있다. 묘표는 송시열이 쓰

            고, 가장은 8대손 최병(最炳)이 썼다.

 계    보 :  21 暾 - 22 昌世 - 23 煌 - 24 文擧 - 25 搏 - 26 殷敎

※ 노서유사(魯西遺事)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인 노서 윤선거(尹宣擧)의 유사록(遺事錄). 필사

            본. 1책. 이익(李瀷) 편찬. 내용은 우계(牛溪) 성혼(成渾)과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행학도심(行學道心)을 명확하게 풀이하고, 두 사람의 제자

            들에 의하여 일어난 후세의 학파를 논술한 것과 우계선생연보후설(牛溪先

            生年譜後說), 성혼·이이의 사우(師友) 및 문인록(文人錄) 등이 수록되어

            있다.

 계    보 :  21 暾 - 22 昌世 - 23 煌 - 24 宣擧 - 25 拯

※ 노릉지(魯陵志)

            조선 인조 때 윤순거(尹舜擧)가 영월군수(寧越郡守)로 있을 때, 노릉제

            (魯陵祭)를 마치고 군아(郡衙)에 소장된 노릉록(魯陵錄)을 기본으로 하여

            저술한 능기(陵記). 활자본. 운각인서체자판(芸閣印書體字版). 2권 1책.

            1663년(현종 4) 간행. 잡기(雜記)와 소설이 곁들여 있다. 권 1에는 단종

            의 출생부터 사망 후 1698년(숙종 24) 복위될 때까지의 사실을 편년체(編

            年體)로 기록하고, 다음으로 분묘(墳墓)의 관리, 남효온(南孝溫)의 단종

            복호상소(復號上疏), 사묘(祠墓) 제축(祭祝)의 사실 등을 실었다. 권 2에

            는 노릉을 소재로 한 시문(詩文)을 수록하고, 그 뒤에 부록으로 황보 인

            (皇甫仁), 김종서(金宗瑞), 허후(許후), 사육신(死六臣), 정  보(鄭  保)

            금성대군(錦城大君) 유(瑜), 생육신(生六臣) 등의 전기와 무오사화(戊午

            士禍)에 관한 기록을 실었다.

 계    보 :  21 暾 - 22 昌世 - 23 燧 - 24 舜擧 - 25 推

※ 삼절유고(三節遺稿) 삼절고(三節稿)

            윤이명(尹以明/1629~1682) 조선 중기의 문인(文人). 본관은 파평(坡平-南

            原伯派). 자 문숙(文淑). 호 취선(醉仙). 임진왜란 때 순절(殉節)한 문신

            윤섬(尹暹)과 병자호란 때 순절한 윤계(尹棨) 및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

            람인 윤집(尹集) 등 3절신의 시문집. 삼절고(三節稿)라고도 한다. 목판

            본. 10권 3책.

            1672년(현종 13)에 윤계의 아들 이명(以明)이 편집, 간행하였다. 내용은

            권1에 윤섬의 시(詩), 책(策), 권2∼8은 윤계의 시(詩), 교서(敎書), 소

            (疏), 차(箚), 계(啓), 사(辭), 책(策), 설(說), 권 9∼10은 윤집의 시,

            소, 차, 사, 책, 설 등을 수록하였다. 책머리에 송시열(宋時烈)과 정두경

            (鄭斗卿)의 서문이 있고, 책끝에 송준길(宋浚吉)의 발문이 있다.

 계    보 :

※ 덕포유고(德浦遺稿)

            윤  진(尹  搢 1631 ~ 1698)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본관 파평(坡平-

            昭靖公派). 자 자경(子敬). 호 덕포(德浦). 장령(掌令) 윤순거(尹舜擧)의

            아들. 윤  진(尹  搢)의 시문집. 활자본. 4권 2책. 현손 헌규憲圭)가 편

            집, 1833년(순조 33)에 간행하였다. 내용은 시(詩), 소(疏), 서(書), 잡

            저(雜著), 제문(祭文), 과체론(科體論), 책(策), 부록(附錄) 등이다. 특

            히 소와 책에는 당시의 정치, 경제 상황과 관련된 것이 많아, 사료로서

            가치가 있다.

 계    보 :  21 暾 - 22 昌世 - 23 燧 - 24 舜擧 - 25 搢 - 26 惠敎

※ 조야첨재(朝野僉載)

            윤형성(尹衡聖/1608~1676)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南原伯

            派). 자 경임(景任). 호 기기재(棄棄齋).  조선시대의 편년사(編年史).

            필사본. 52권 29책. 1392년(태조 1)부터 1720년(숙종 46)까지의 사실을

            수록하였다. 간행 연대는 숙종 때로 추정된다. 약천집(藥泉集)과 국조인

            물지(國朝人物志)에는 숙종 때의 윤형기(尹衡器)가 저자로 되어 있고, 연

            려실기술(燃藜室記述) 별집의 야사목록(野史目錄)에는 윤득운(尹得運),

            규장각목록에는 윤형성(尹衡聖)으로 되어 있어 저자를 정확히 알 수 없

            다. 내용은 국조보감(國朝寶鑑)과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등을 참고하여

            기술하였으며, 근본자료는 적으나 조선 역사의 개략을 이해하는 데 편리

            하다. 권 1은 태조, 권 2는 정종, 권 3은 태종, 권 4∼5는 세종, 권 6은

            문종, 권 7은 단종, 권 8은 세조, 권 9는 예종, 권 10은 성종, 권 11은

            연산군, 권 12∼13은 중종, 권 14∼15는 인종, 권 16∼17은 명종, 권 18

            ∼30은 선조, 권 31∼33은 광해군, 권 34는 원종, 권 35∼39는 인조, 권

            40은 효종, 권 41은 현종, 권 42∼50은 숙종, 권 51∼52는 별록(別錄)으

            로 되어 있다.

 계    보 :

※ 도계유고(陶溪遺稿)

            윤홍규(尹弘圭/1760~1826)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 파평(坡平- 昭靖公派). 자 의보(毅甫). 호 도계

            (陶溪). 초명 두기(斗基). 1792년(정조 16) 생원(生員)이 되었다. 주자학

            (朱子學)을 연구하여 예학(禮學)에 밝았다. 활자본. 4권 2책.

            1873년(고종 10)에 그의 후손이 간행하였다. 권1은 시(詩), 권2는 서(書)

            권 3은 지장(誌狀), 잡저(雜著), 권 4는 제문(祭文) 등으로 되었다.

            책머리에 조석우(曺錫雨)의 서(序)가 실려 있다.

 계   보 : 25 擏 - 26 頤敎 - 27 東野 - 28 光後 - 29 弘圭 - 30 宗鎭

※ 팔송봉사(八松封事)

            윤 황(尹 煌 1572 ~ 1639)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 파평(坡平). 자 덕요

            (德耀). 호 팔송(八松), 노곡(魯谷). 시호 문정(文正). 윤황(尹煌)의 저

            술 중 국가 정책에 대한 것을 중심으로 모은 책. 목판본. 2권 2책. 1866

            년(고종 3)에 후손들이 간행하였다. 권 1에 계사(啓辭), 상소, 논(論),

            서계(書啓), 차자(箚子) 등 국왕에게 올린 글과 발언을 모으고, 권 2는

            부록으로 편지, 제문, 시, 가훈 등의 기타 저술과 저자에 대한 행장, 묘

            표를 붙였다. 대표적인 내용은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을 겪는 상황에서 후

            금(後金), 청(淸)나라를 배격하고 반정공신들의 정치경제적 특권과 비리

            를 공격한 것이다. 정묘호란 때는 후금의 사신을 받아들이지 말자고 극단

            적인 척화론을 주장하면서 공신들의 비리를 구체적으로 지적하여 나라를

            그르친 책임을 그들에게 지워야 한다고 하였다. 1636년(인조 14)의 상소

            에서도 공신들이 왕실과 함께 민전(民田)과 백성들을 점탈하여 여러 가지

            경제적 이득을 독점한다고 비판하였다. 그 중 척화론은 임진강을 잘 이용

            해야 한다거나 10만의 군대를 양성해야 한다는 등의 구체적인 전략과 함

            께 개진되었다. 또 국가의 재정을 튼튼히 하기 위해 각 능(陵)에 대한 제

            사와 임금의 음식을 줄여야 한다는 구체적 방안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

            러한 발언들은 대개 삼사 관원으로서 일반 관인들의 견해를 대표해 내놓

            은 것들이었지만, 공신 권세가들로부터 격렬한 반발을 사, 국가 정책의

            주류를 이루지는 못하였고, 오히려 비현실적이고 잘못된 주장이라는 비판

            을 받아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후에 각 한 차례씩 유배 당하였다.

            김상헌이 서문을 붙였으며, 스승인 성혼(成渾)과 김장생(金長生)에 대한

            제문도 들어 있다.

 계    보 :  19 倬 - 20 先智 - 21 暾 - 22 昌世 - 23 煌 - 24 勛擧

 

  장호봉사(長湖奉事)

 윤경교(尹敬敎)

 昭靖公派

 20

  영호실기(瀯湖實記)

 윤경남(尹景男)

 代言公派

 20

  고당집(顧堂集)  

 윤긍주(尹兢周)

 昭靖公派

 33

  무명자집(無名子集)

윤  기(尹 愭)

 版圖公派

 30

  활수옹유고(活水翁遺稿)

 윤대순(尹大淳)

 奉祿君派

 29

  우공산천몰혁고(禹貢山川沒革考)

 윤동규(尹東奎)

 版圖公派

 28

  역계해설(易繫解說)

 윤동규(尹東奎)

 版圖公派

 28

  춘추불개월변(春秋不改月辨)

 윤동규(尹東奎)

 版圖公派

 28

  주례종률합변의(周禮鍾律合變疑)

 윤동규(尹東奎)

 版圖公派

 28

  시궁구변동이변(施宮九變同異辨)

 윤동규(尹東奎)

 版圖公派

 28

  가례편차선후변(家禮編次先後辨)

 윤동규(尹東奎)

 版圖公派

 28

  도정공유고(都正公遺稿)

 윤동로(尹東魯)

 昭靖公派

 27

  삼관통(三官通)

 윤동절(尹東晢)

 昭靖公派

 27

  현와집(弦窩集)

 윤동야(尹東野)

 代言公派

 26

  삼체록(三逮錄)

 윤동원(尹東源)

 昭靖公派

 27

  파강유고(巴江遺稿)

 윤병정(尹秉鼎)

 南原伯派

 30

  화양존주록(華陽尊周錄)

 윤봉구(尹鳳九)

 昭靖公派

 26

  석문집(石門集)

 윤봉오(尹鳳五)

 昭靖公派

 26

  문견록(聞見錄)

 윤석래(尹錫來)

 太尉公派

 25

  추담집(秋潭集)

 윤  선(尹  銑)

 昭靖公派

 22

  계갑록(癸甲錄)

 윤선거(尹宣擧)

 昭靖公派

 24

  노서일기(魯西日記)

 윤선거(尹宣擧)

 昭靖公派

 24

  우계연보후설(牛溪年譜後說)

 윤선거(尹宣擧)

 昭靖公派

 24

  지비헌시고(知非軒詩稿)

 윤선거(尹宣擧)

 昭靖公派

 24

  임재유고(臨齋遺稿)

 윤심형(尹心衡)

 昭靖公派

 27

  의관유고집(宜觀遺稿集)  

 윤안성(尹安性)

 昭靖公派

 22

  역해(易解)

 윤언이(尹彦頤)

 昭靖公派

  6

  봉계문집(鳳溪文集)

 윤  유(尹  揄)

 昭靖公派

 25

  지각문대(知覺問對)

 윤응선(尹膺善)

 昭靖公派

 27

  이제후변(夷齊後辨)  

 윤응선(尹膺善)

 昭靖公派

 27

  성재유고(省齋遺稿)   

 윤이병(尹履炳)

 昭靖公派

 33

  산가청사(山家淸事)

 윤의립(尹毅立)

 版圖公派

 22

  야언통재(野言通載)

 윤의립(尹毅立)

 版圖公派

 22

  죽재집(竹齋集)

 윤인함(尹仁涵)

 昭靖公派

 21

  침계유고(침溪遺稿)

 윤정현(尹定鉉)

 南原伯派

 28

  예기사문록(禮記思問錄)

 윤종의(尹宗儀)

 版圖公派

 32

  방례고증(邦禮考證)

 윤종의(尹宗儀)

 版圖公派

 32

  상서도전변해(尙書圖傳辯解)

 윤종의(尹宗儀)

 版圖公派

 32

  사서의록(四書疑錄)

 윤종의(尹宗儀)

 版圖公派

 32

  답문수록(答問隨錄)

 윤종의(尹宗儀)

 版圖公派

 32

  예람명의고(禮覽名義考)

 윤종의(尹宗儀)

 版圖公派

 32

  상례분류(喪禮分類)

 윤종의(尹宗儀)

 版圖公派

 32

  증자정문부주(曾子正文附註)

 윤종의(尹宗儀)

 版圖公派

 32

  국가동휴표(國家同休表)

 윤종의(尹宗儀)

 版圖公派

 32

  고사편휘(古史編彙)

 윤종의(尹宗儀)

 版圖公派

 32

  독역거안록(讀易居安錄)

 윤종의(尹宗儀)

 版圖公派

 32

  거안록(居安錄)

 윤종의(尹宗儀)

 版圖公派

 32

  을사소장록(乙巳消長錄)

 윤종의(尹宗儀)

 版圖公派

 32

  유사소전(游史小箋)

 윤종의(尹宗儀)

 版圖公派

 32

  율력의난(律曆疑難)

 윤종의(尹宗儀)

 版圖公派

 32

  명재의례문답(明齋疑禮問答)

 윤  증(尹  拯)

 昭靖公派

 25

  예설(禮說)

 윤  증(尹  拯)

 昭靖公派

 25

  리기론(理氣論)

 윤  증(尹  拯)

 昭靖公派

 25

  심성론(心性論)

 윤  증(尹  拯)

 昭靖公派

 25

  격물치지론(格物致知論)

 윤  증(尹  拯)

 昭靖公派

 25

  변무사기(辨誣私記)

 윤  추(尹  推)

 昭靖公派

 25

  학음고(學音稿)

 윤춘년(尹春年)

 版圖公派

 20

  파천집(坡川集)

 윤탕로(尹湯老)

 昭靖公派

 18

  형향록(馨香錄)

 윤태준(尹泰駿)

 太尉公派

 31

  대방세가언행록(帶方世家言行錄)

 윤행임(尹行恁)

 南原伯派

 27

  파천집공편(坡川集共編)  

 윤  호(尹  壕)

 昭靖公派

 17

  상례홀기(喪禮笏記)

 윤홍규(尹弘圭)

 昭靖公派

 29

  정재집(靜齋集)

 윤  홍(尹  泓)

 南原伯派

 24

  독서기(讀書記)

 윤  휴(尹  鑴)

 南原伯派

 23

  백호집(白湖集)

 윤  휴(尹  鑴)

 南原伯派

 23

  홍범설(洪範說)

 윤  휴(尹  鑴)

 南原伯派

 23

  주례설(周禮說)

 윤  휴(尹  鑴)

 南原伯派

 23

  중용설(中庸說)

  윤  황(尹  煌) 

 昭靖公派

 23

  효경장구고이(孝經章句考異)

 윤  휴(尹  鑴)

 南原伯派

 23

  대학설(大學說)  

 윤  휴(尹  鑴)

 南原伯派

 23

  대학고본별록(大學古本別錄)

 윤  휴(尹  鑴)

 南原伯派

 23

  공고직장도설(公孤職掌圖說)

 윤  휴(尹  鑴)

 南原伯派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