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자료

2. 무오 사화(戊午 士禍)

물텀벙 2008. 5. 7. 12:08

 

2. 무오 사화(戊午 士禍)

 

  1498년(연산 4)에 김일손(金馹孫) 등 신진사류(新進士類)가, 유자광(柳子光)을 중심으로 한 훈구파(勳舊派)에 의하여 화(禍)를 입은 사건이다.

 

  요약 : 당시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이 시작되자 사관(士官)이었던 김일손이, 훈구파의 비행과 스승인 김종직(金倧直)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사초(史草)에 올렸는 데, 이전부터 갈등을 느껴오던 훈구파의 유자광과 이극돈(李克墩)등이 이것을 문제삼아 세조의 왕위찬탈을 비방한 것이라고 연산군에게 고해 바쳤다. 이로 말미암아 김종직 문하(門下)의 수많은 사림파(士林派) 선비들이 화(禍)를 당하게 되었는데, 김종직은 이미 죽은 후였으므로 부관참시(剖棺斬屍)의 욕을 당하고 그 밖의 많은 제자들은 처형되거나 귀양갔다.

  무오년에 일어났다 하여 무오사화라 한다.

 

 

사화 순절신(士禍 殉節臣)

윤효손(尹孝孫-坡平):南原伯派 15世 :有慶. 號湫溪. 諡文孝. 同知中樞府事. 사화로 파직. 후 복관.

강  겸(姜  謙-晉州):字謙之.掌令.金宗直 門人

강백진(康伯珍-信川):號無名齋.掌令.金宗直 婿

강중진(康仲珍-信川):判校. 康伯珍의 弟

강  집(姜  집-晉州):號貞齋.弘文館校理.姜謙 弟

권경유(權景裕-安東):號癡獻. 校理. 堤川縣監

권오기(權五紀-醴泉):號拙齋. 左通禮. 權五福 弟

권오복(權五福-醴泉):號睡軒. 校理. 金宗直 門人

김굉필(金宏弼-瑞興):號寒喧堂.諡文敬.監察.佐郞

김일손(金馹孫-金海):校理. 號濯纓. 諡文愍

김종직(金宗直-善山):號畢齋. 諡文簡

김처선(金處善-全義):宦官

박한주(朴漢柱-密陽):號迂拙齋. 獻納

어세겸(魚世謙-咸從):號西川.諡文貞.左議政

유  순(柳  洵-文化):號老圃. 諡文僖. 領議政

이극돈(李克墩-廣州):諡翼平. 廣原君.諡職 追奪

이  목(李  穆-全州):司諫. 號寒齋. 諡貞簡.

이수공(李守恭-廣州):仲平. 司成. 金宗直의 門人

이수의(李守義-廣州):字存仲. 翰林. 李世佐의 子

이종준(李宗準-慶州):舍人. 號용軒

이  주(李  胄-固城):正言

임희재(任熙載-豊川):任士洪의 子

정성근(鄭誠謹-晉州):號兼父.諡忠節.承旨.直提學

정승조(鄭承祖-慶州):字逑而. 檢閱. 金宗直 門人

정여창(鄭汝昌-河東):號一두. 諡文獻. 安陰縣監

정희량(鄭希良-海州):號虛庵. 待敎

표연말(表沿末-新昌):號藍溪.大司諫.金宗直 門人

허  반(許  磐-陽川):字文炳.參奉.金宗直 門人

홍  한(洪  澣-南陽):號이窩.吏曹參議.金宗直門人

 

 

戊午士禍의 五賢

金馹孫(김일손-金海).  李  穆(이  목-全州).  權五福(권오복-醴泉).  

權景裕(권경유-安東).  許  磐(허  반-陽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