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일 구국운동
한말 항일 구국운동 (韓末 抗日 救國運動)
抗日殉節諸人
을미사변(乙未事變)
요약 : 1895년 10월 8일 명성왕후가 경복궁에서 일본공사 미우라(三浦梧樓)가 지휘하는 일본 낭인들에게 시해된 사건이다. 명성황후 시해사건 또는 민비학살사건이라고도 부른다.
개요 : 명성황후는 일본의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러시아의 힘을 이용하려 하였으며 이는 정책상 일본에 불리하였다. 이에 일본 정부는 주한 일본공사 미우라 고로를 사주하여 1895년 10월 8일 낭인들을 동원하여 경복궁으로 침입하여, 고종황제를 위협하고 명성황후를 시해하였다. 이들은 옥호루에서 피신하는 명성황후를 발을 걸어 가슴을 수 차례 밟고 이어 난자 살해하여 그 시신을 궁궐 밖으로 운반하여 소각하였다. 을미사변은 고종이 아관파천(俄館播遷)을 결정하게 된 주요 원인이었고, 의병 봉기의 계기가 되었다.
명성황후는 시해된 후 폐위되어 서인으로 되었다가 같은 해 10월 복호되었고, 시해 2년 뒤인 1897년 대한제국이 수립된 직후 명성이라는 시호가 내려졌고 황후로 추존되었다. 같은 해 11월 국장으로 홍릉에 안장되었다.
※ 아관파천(俄館播遷)은 1896년 2월 11일부터 1897년 2월 20일까지 1년간 고종과 세자가 경운궁을 떠나 어가를 러시아 공사관으로 옮겨서 거처한 사건이다. 노관파천(露館播遷)이라고도 한다. |
순절인(殉節人) |
李耕稙(韓山) : 字威禳. 號莘夫. 諡忠肅. 淸州出生. 궁내부대신 |
洪啓薰(南陽) : 字聖南. 號圭珊. 諡忠毅. 初名在羲 |
을사보호조약(乙巳保護條約)
요약 : 1905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제가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기 위해 강제로 체결한 조약. 개요 : 공식 명칭은 한일협상조약(韓日協商條約)이며, 제2차 한일협약, 을사보호조약, 을사5조약이라고도 한다. |
순절인(殉節人) | |
金奉學(未詳 ) :평양진위대.서울侍衛隊 上等兵 |
閔泳煥(驪興) : 字文若.號桂庭.謙鎬 子 |
安秉瓚(順興) : 字穉圭.法部主事.異名炳燦. |
李建奭(全州) : 字漢卿.號醒石.主事 |
李相哲(未詳) : 學部主事 |
李漢應(全義) : 字敬天.號菊隱.內部協辦.異名漢膺 |
鄭在洪(未詳) : 대한자강회 인천지회장 |
趙秉世(楊州) : 字穉顯.號山齋.諡忠正.左議政 |
洪萬植(南陽) : 字伯憲.號湖雲.諡忠貞.觀察使 |
|
을사오적(乙巳五賊) |
|
권중현(權重顯-安東 1854∼1934) 初名 在衡.號經農.충북영동.대세영합론자.勳一等旭日大綬章.子爵 | |
박제순(朴齊純-潘南 1858∼1916) 號平齋.경기용인상도촌.을사조약 체결 외교책임자. 日本 子爵 | |
이근택(李根澤-全州 1865∼1919) 初名根용.충북충주.을사조약의 체결에찬동.子爵.총독부중추원고문 | |
이완용(李完用-牛峰 1858∼1926) 字敬德. 號一堂.경기광주.한일합방 주역.매국노의 대명사. 伯爵 | |
이지용(李址鎔-全州 1870∼1928) 初名 垠鎔.字景川.號響雲.충남공주.韓日議定書 調印. 伯爵 |
정미칠적(丁未七賊) |
|
|
고영희(高永喜-濟州 1849-1916) 59세 |
탁지부대신 |
자작, 중추원 고문 |
송병준(宋秉畯-恩津 1857-1925) 51세 |
농상공부대신 |
백작, 중추원 고문 |
이병무(李秉武-全州 1864-1926) 44세 |
군부대신 |
자작 |
이완용(李完用-牛峰 1856-1926) 52세 |
내각총리대신 |
후작, 중추원 고문 겸 부의장 |
이재곤(李載崑-全州 1859-1943) 49세 |
학부대신 |
자작, 중추원 고문 |
임선준(任善準-豊川 1860-1919) 48세 |
내부대신 |
자작, 중추원 |
조중응(趙重應-楊州 1860-1919) 48세 |
법부대신 |
자작, 중추원 고문 : 初名 重協 |
한일 병합 조약(韓日倂合條約)
한일 병합 조약(韓日倂合條約)은 1910년 8월 22일 대한제국과 일본국 사이에 맺어진 불평등조약이다. 조선통감 데라우치 마사다께와 총리대신 이완용이 중심이 되어 형식적인 회의를 거쳐 조약을 통과시켰다. 을사 조약 이후 실질적 통치권을 잃었던 대한제국은 멸망하고 일제시대가 시작되었다. 한국에서는 이를 경술국치(庚戌國恥)라고도 부른다 |
경술국치(庚戌國恥) 순절인(殉節人) |
|
權龍河(安東) : 字賢弼. 號月谷. 司憲府監察 |
金根培(金海) : 字光元. 號梅下. 成均館博士 |
金奭鎭(安東) : 字景召. 號梧泉. 敦寧府判事 |
金永相(康津) : 字昇如. 號春雨亭 |
金濟煥(金海) : 字文道. 號素堂 |
金志洙(光山) : 字心一. 中樞院參議 |
朴炳夏(密陽) : 字文赫 |
朴世和(密陽) : 字年吉. 號毅堂. 英陵參奉 |
朴永哲(密陽) : 號藍溪 |
潘夏慶(巨濟) : 一名學榮. 內侍 |
白成欽(水原) : 宣傳官. 濟州判官 |
宋秉珣(恩津) : 字東玉. 號心石. 義禁府都事 |
宋宙勉(礪山) : 字正汝. 號圭沙. 中樞院議官 |
吳剛杓(寶城) : 字明汝. 號無貳齋 |
柳道發(豊山) : 字承수.號晦隱.世子侍講院副率 |
柳臣榮(豊山) : 字敬夫. 號霞隱 |
李根周(全義) : 字文若. 號淸狂 |
李來修(全州) : 字源伯. 號陽隱 |
李晩烓(眞寶) : 字順則. 號柳川. 副校理 |
李晩燾(眞寶) : 字觀必. 號響山. 工曹參議 |
李冕宙(全州) : 字允來. 號桂隱 霞溪.初名錫宇 |
李承七(全州) : 字斗卿. 監察. 慶州營將 |
李中彦(眞寶) : 字仲寬. 號東隱.司憲府持平 |
李學純(全州) : 字敬實. 號晦泉 |
李鉉燮(延安) : 字瑞圭. 號愚軒. 成均生員 |
張基錫(仁同) : 字進汝. 號紫下. 張世憲의 子 |
張泰秀(仁同) : 字聖安. 號一齋. 中樞院議官 |
鄭東植(延日) : 字敬必. 訓練院主簿 |
趙章夏(豊壤) : 字景憲. 號履齋. 任憲晦 門人 |
趙鼎九(豊壤) : 字米卿. 號月坡居士. 禮曺參判 |
崔宇淳(全州) : 字舞九. 號西扉 |
黃 玹(長水) : 字雲卿. 號梅泉 |
洪範植(豊山) : 字聖訪. 號一阮. 錦山郡守 |
|
의병장(義兵將)
姜基周(晉州) |
高光洵(長興 |
高元直(濟州) |
權繼述(未詳) |
權玳一(未詳) |
權世淵(安東) |
權義熙(未詳) |
權重植(未詳) |
奇參衍(幸州) |
奇宇萬(幸州) |
具萬書(未詳) |
金德鎭(安東) |
金百先(未詳) |
金福漢(安東) |
金尙台(三陟) |
金錫夏(未詳) |
金秀敏(未詳) |
金汝錫(未詳) |
金永伯(未詳) |
金有聖(未詳) |
金 準(慶州) |
金泰元(海豊) |
南相悳(宜寧) |
南錫仁(英陽) |
盧炳大(光山) |
盧應奎(光山) |
盧熙泰(未詳) |
羅時雲(未詳) |
柳麟錫(高興) |
柳重和(未詳) |
柳濬根(全州) |
柳化國(未詳) |
明致三(未詳) |
文泰鉉(昌原) |
閔肯鎬(驪興) |
閔宗植(驪興) |
朴汝成(未詳) |
朴正斌(未詳) |
方仁寬(未詳) |
白洛龜(水原) |
白三圭(水原) |
徐相烈(達城) |
徐相說(達城) |
石昌文(忠州) |
孫在奎(未詳) |
申乭錫(平山) |
申甫鉉(未詳) |
沈守澤(靑松) |
安樂三(未詳) |
安炳瓚(順興) |
安承禹(順興) |
安重根(順興) |
梁漢奎(南原) |
梁會一(濟州) |
延基羽(谷山) |
延昌壽(谷山) |
元容八(原州) |
尹東燮(未詳) |
李康年(全州) |
李光烈(未詳) |
李國善(全義) |
李根秀(未詳) |
李根周(全義) |
李大克(咸平) |
李晩燾(眞城) |
李文鎬(未詳) |
李培根(未詳) |
李範允(全州) |
李範稷(全州) |
李 錫(慶州) |
李錫庸(全州) |
李 偰(延安) |
李世永(德水) |
李麟榮(未詳) |
李殷贊(全州) |
李載求(未詳) |
李載允(全州) |
李鎭龍(未詳) |
李春永(德水) |
李漢久(驪江) |
任炳瓚(未詳) |
任性基(豊川) |
全德元(旌善) |
全垂鏞(天安) |
鄭鳳俊(未詳) |
鄭永珍(未詳) |
鄭煥直(迎日) |
鄭漢容(未詳) |
趙尙學(未詳) |
池弘允(未詳) |
朱庸奎(綾城) |
蔡光默(平康) |
蔡應彦(仁川) |
崔益鉉(慶州) |
崔在亨(未詳) |
崔濟學(耽津) |
河相泰(未詳) |
韓鳳洙(淸州) |
許 蔿(金海) |
洪範圖(南陽) |
黃重玉(未詳)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