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난 때의 순절신
국난(國亂) 때의 순절신.
※ 仁祖朝 李适의 亂(이괄의 난)
1624년(인조 2) 평안병사 이괄(李适)이 인조반정의 논공행상(論功行賞)에 불만을 품고 일으킨 반란. 인조반정 때 공을 세운 이괄(李适)이 논공(論功)에서 우대받지 못하고 평안 병사(兵使) 겸 부원수로 좌천되자 이에 불만을 품고 난을 일으켰다가, 반란이 실패하자 일부가 후금(後金)으로 도망하여 국내의 불안한 정세를 알리며 남침을 종용하였는데, 이것이 인조 5년(1627)에 정묘호란의 원인이 되었다. |
殉節臣(순절신)
尹廷俊 |
윤정준(坡平) |
版圖公 貞靖公派 22世 : 初名廷秀 字秀伯 瓊子(生父:발)武科碧潼郡守天啓甲子适亂以甕津縣令赴戰岐灘被執罵賊殉節贈兵曺參判坡寧君丙戌男隮錄勳復贈兵曺判書,諡忠愍. |
權浩源 |
권호원(安東) |
安東訓局哨官 |
金敬雲 |
김경운(安東) |
宣川府使. 振武功臣 2等. 花山君 |
金震翼 |
김진익(道康) |
字삼선. 號구우당. 振武功臣. |
方 潝 |
방 흡(溫陽) |
裨將 |
朴永緖 |
박영서(星州) |
昌成府使. 諡忠莊 |
朴榮臣 |
박영신(密陽) |
豊川府使, 諡忠壯 |
李師洙 |
이사수(未詳) |
府使 贈兵判 |
李聖符 |
이성부(全州) |
右防禦使,諡忠壯 |
李寅慶 |
이인경(未詳) |
延安府使. |
李重老 |
이중로(全州) |
都正, 淸興君, 諡忠壯. 防禦使. |
林 檜 |
임 회(平澤) |
字永喬. 號杏窩 |
張 緬 |
장 면(德水) |
訓局哨官 |
※ 英祖朝 李麟佐의 亂(戊申의 亂)
조선 후기(영조 4) 李麟佐. 鄭希良 등의 모반. 1728년(영조 4) 소인과 남인의 일부세력이 영조와 노론을 제거하고 밀풍군(密豊君) 탄(坦)을 추대하고자 했던 반정. 이인좌가 거병했으므로 '이인좌의 난'이라 하며, 무신년(戊申年)에 발생했으므로 '무신의 란'이라고도 한다. |
殉節臣(순절신)
南廷年 |
이정년(宜寧) |
字壽伯. 諡忠莊. 淸州營將 |
李鳳祥 |
이봉상(德水) |
字儀叔. 諡忠愍. 淸州兵使 |
李述源 |
이술원(延安) |
字善叔. 號和村. 居昌座首 |
李弘茂 |
이홍무(德水) |
字子長. 諡忠肅. 李舜臣의 玄孫 |
洪 霖 |
홍 림(南陽) |
字春卿. 諡忠剛. 兵營裨將 |
※ 純祖朝 洪景來의 亂
1862년(철종 13) 홍경래(洪景來), 우군칙(禹君則) 등의 주도로 평안도에서 일어난 항쟁. 平安道農民戰爭(壬戌農民抗爭)이라고도 한다. |
殉節臣(순절신)- (壬申七義士)
金大宅 |
김대택(未詳) |
贈兵使 |
白慶翰 |
배경한(水原) |
字子漸. 號鳧湖. 諡忠剛. 贈參判 |
林之煥 |
임지환(未詳) |
贈參判 |
鄭 蓍 |
정 시(淸州) |
字德圓. 號伯友. 諡忠烈. 嘉山郡守. 鄭 魯의 子 |
諸景彧 |
제경욱(漆原) |
字敬植. 諡忠襄. 薪島鎭水軍僉節制使 |
韓浩運 |
한호운(淸州) |
字文翼. 諡忠毅. 贈參判. 韓順彬의 子 |
許 恒 |
허 항(陽川) |
字元淑. 羽林衛將. 追贈三道水軍統制使. 僉節制使 秀의 子 |
※ 壬午 軍亂
1882년(고종 19) 6월 일본식 군제(軍制) 도입과 민씨정권에 대한 반항으로 일어난 구식군대의 군변(軍變). 임오년에 구식 군대의 군인들이 신식 군대인 별기군과의 차별 대우와 밀린 급료에 불만을 품고 군제 개혁에 반대하며 일으킨 난리. 이를 계기로 다시 정권을 잡은 대원군은 여러 가지 개혁을 단행하는 등, 사태 수습에 노력하였으나 결국 실패하여 청나라에 압송되었으며, 조정은 일본과 제물포 조약을 맺게 되었다. |
殉節臣(순절신)
尹泰元 |
윤태원(坡平) |
太尉公派 31世 壬午以衛扈勞特贈從一品參政大臣諡忠貞 |
金輔鉉 |
김보현(光山) |
字公弼. 號蘭齋. 諡文忠. 京畿道觀察使 |
閔謙鎬 |
민겸호(驪興) |
字允益. 諡忠肅. 宣惠廳堂上 |
閔昌植 |
민창식(驪興) |
字盛繁. 諡忠貞. 大司諫. 追贈吏曹判書 |
李最應 |
이최응(全州) |
字良伯. 號山響. 諡忠翼(改諡忠文). 興仁君. 興宣大院君의 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