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 048. 이 글에 이의나 추가 정보가 있으시면 쪽지나 댓글을 남겨 주세요. |
본명은 우의(禹儀), 호는 매헌(梅軒), 황(璜)의 아들, 3·1운동 때 왜놈의 교육을 받지 않겠다고 소학교를 자퇴하고 독학하여 19세때 야학을 설치, 22세때 월진회(月進會)를 조직하고 농촌자립과 계몽에 힘썼다. 1930년 상해로 망명 한인애국단(韓人愛國團)에 가입, 1932년 4월29일 왜국천황 생일축하 겸 상해사변 전승기념을 거행하는 홍구공원(虹口公園)식장에 김구(金九) 주석의 지시로 들어가 폭탄을 던져 일본군 사령관 시라가와(白川義則)대장을 살해하였다. 현장에서 잡혀 상해의 일본군법재판에서 사형을 선고 받고, 일본 가나자와 형무소에서 순국하였다. 이 의거가 후일 장개석 총통이 한국독립을 강경히 주장한 동기가 되었다. 묘소는 서울 효창공원. 사당은 덕산면 시량리 충의사(忠義祠), 건국공로훈장 중장이 추서되었다.
梅軒의 生涯 Ο 1908 년 6월 21일(음.5월23일) 충남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 178번지에서 파평윤씨 윤 황(尹 璜)과 경주김씨 김원상(金元祥)의 장남으로 출생. 본명 우의(禹儀), 자 용기(鏞起), 아호 매헌(梅軒), 별명 봉길(奉吉). Ο 1911 년 (4 세) 생가에서 이웃 139번지로 이사. Ο 1913 년 (6 세) 伯父 윤경(尹坰) 밑에서 윤순의(尹舜儀) 등과 한문을 배움. Ο 1918 년 (11 세) 덕산보통학교에 입학. Ο 1919 년 (12 세) 3.1운동에 자극을 받아 식민지 노예교육을 배격하고 학교를 자퇴한 후 최병대(崔秉大) 門下에서 季氏 성의(聖儀)와 한학을 수업. Ο 1921 년 (14 세) 봄에 매곡 성주록(梅谷 成?錄)의 오치서숙(烏峙書塾)에서 사서삼경(四書三經) 등 본격적인 한학을 수학. Ο 1922 년 (15 세) 성주배씨 배용순(裵用順)과 결혼. 漢詩 지음. Ο 1924 년 (17 세) 詩文集 명추(鳴椎), 옥수(玉唾)를 씀. Ο 1926 년 (19 세) 서숙생활을 마치고 농민계몽, 농촌부흥운동, 독서회운동 전개. Ο 1927 년 (20 세) 농민독본(계몽편 2권, 농민의 앞길 3권, 散失 1권) 저술. Ο 1928 년 (21 세) 2월 5일 부흥원 상량식. 이해부터 시조사 이흑룡(時兆社 李黑龍)와 접촉. Ο 1929 년 (22 세) 부흥원 설립으로 농촌부흥운동을 본격화. 정초부터 기사일기(己巳日記)를 1년간 씀. 2 월 18일 부흥원에서 학예회를 열어 寸劇 “토끼와 여우”를 공연하고 이로 인하여 일본경찰의 주목을 받음. 농촌진흥을 위한 월진회(月進會)를 조직하고 회장에 추대됨. 수암체육회(修岩體育會)를 설치. 7월 13일 조부 별세. Ο 1930 년 (23 세) 3월 6일 고향을 떠나 만주로 향하던 중 3월 7일 宣州에서 피검되어 한달 보름가량 옥고를 치름. 만주로 탈출하여 독립운동 준비를 하고 12월에 단신 大連을 거쳐 중국 靑島로 건너가 이듬해 여름까지 현지 실태를 파악함. Ο 1931 년 (24 세) 8월 上海로 옮겨가서 프랑스 조계 霞飛路和合坊 東浦石路 19호 안공근(安恭根)댁의 3층에 숙소를 정하고 교포실업가 박 진(朴震)씨 경영의 공장에서 일하는 한편 상해영어학교에서 수업하며 노동조합 조직후 새활동을 모색함. 겨울부터 白凡 金九와 접촉함. Ο 1932 년 (25 세) 봄, 야채행상으로 가장하여 일본군의 정보를 탐지하고 4월 26일 韓國愛國團에 입단함. 4월 29일(음 3.25) 오전 11시 상해 홍구공원에서 개최한 일본의 天長節戰勝祝賀紀念式典에 투탄하여 상해파견군 사령관 白川義則대장, 상해거류민단장 河端貞次 등은 폭사하고, 野村吉三郞중장, 植田謙吉중장, 重光주중공사, 村井倉松상해총영사, 友野거류민단서기장, 취재중인 日人記者를 중상을 입혀 한국의 독립정신을 세계만방에 과시하였음. 5월 25일 상해파견일본군법회의에서 사형선고를 받음. 11월 18일 일본선박 大洋丸로 일본에 호송됨. 11월 20일 新戶港 밖 私岬에 도착하여 大阪衛戌形務所에 수감됨. 12월 19일 金澤교외 三小牛工兵作業場에서 총살형으로 순국함. Ο 1946 년 7월 7일 해방후 첫 國民葬 엄수하고 효창공원에 安葬 Ο 1947 년 12월 21일, 윤의사의 유업 계승을 위해 덕산에서 月進會 재건. Ο 1949 년 4월 29일, 충남 예산읍에서 윤의사기념비를 세움. Ο 1950 년 4월 30일, 윤의사 부친 尹 璜씨 별세. Ο 1952 년 5월 10일, 윤의사 모친 金元祥여사 별세. Ο 1962 년 3월 1일,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중장 추서. Ο 1965 년 12월 19일, 매헌윤봉길의사 기념사업회 창립총회를 조계사에서 개최함. Ο 1968 년 4월 29일, 충의사(忠義祠)를 창건하고, 기념 백일장 개최로 1천수의 한시를 모아 10월에 시집을 발간함. Ο 1972 년 4월 29일, 매헌윤봉길 기념사업회에서 李民樹저 “윤봉길의사의 약전”간행. 5월 23일, 대전시내에 윤의사동상 건립. 8월 15일, 문공부에서 윤의사 유품과 유적을 보물 제 568호로 지정. 10월 19일, 忠義祠 일원을 “매헌사적지”로 지정(제229호) Ο 1975 년 4월 29일, 상해의거 43주년 기념으로 덕산면 시량리 고택경내에 농촌지도자 모습의 윤의사 동상을 세움. 8월 29일, “매헌장학재단”에서 대학생 21명에게 제 1차 장학금지급. 가을, 林重彬저 “千秋義烈 尹奉吉” 발간 Ο 1976 년 3월 24일, 의거현장사진 입수(중앙일보에 게재됨). 7월 8일, “사형판결서” “옥중취조기록 입수”(동아일보 게재) Ο 1982 년 4월 28일, 매헌문화재 개막. 4월 29일, 윤의사 부인 裵用順여사에게 국민훈장 목련장 포상. Ο 1984 년 忠義館” “梅軒史蹟碑” 건립. Ο 1987 년 4월 29일, “梅軒忠義錄” 간행. Ο 1988 년 7월 10일, 부인 裵容順여사 별세. 사회장으로 장례 거행. 12월 1일, “매헌숭모회관”을 서울 양재동에 건립. 경내에 “윤의사동상”도 건립함. Ο 1989 년 4월 29일, 의거 57주년 기념제전 개막(충의사에서 거행). 서울 양재동 매헌 숭모회관 특별강연회 개최. 노태우대통령 이외 500여명 참여(강사 안병욱 교수) - (자료출처 : 파평윤씨대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