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典名句/古典名句

古典名句 - 50. 홀로일 때를 삼가라 - 장유(張維)

물텀벙 2011. 1. 29. 22:45

 

   古典名句 -  50. 홀로일 때를 삼가라 - 장유(張維)

            

이 글에 이의(異議)가 있으시면 쪽지나 댓글을 남겨 주세요

 

 

屋漏在彼 吾以爲師 (옥누재피 오이위사)

깊숙한 방구석을 내 스승 삼아야지.

                     장유(張維)의 계곡집(谿谷集) 중 신독잠(愼獨箴)에서

 

장유(張維) : 1587(선조 20)~1638(인조 16).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지국(持國), 호는 계곡(谿谷). 묵소(默所).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사위이며 효종비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아버지이고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이다.

 

  해설

 이 글의 제목에 들어 있는 ‘홀로일 때를 삼간다(愼獨)’는 말은 대학(大學)에 실려 있는 말입니다.

“소인은 아무 일 없을 때에 온갖 나쁜 짓을 안 하는 게 없다. 그러다가 군자를 본 뒤에는 슬그머니 저의 나쁜 짓을 감추고 좋은 면을 드러내려고 한다. 그러나 사람들이 자신을 보는 것은 그 폐와 간을 다 들여다보듯 훤하니, 무슨 도움 될 게 있겠는가. 이것을 일러 마음속에 있는 것이 겉으로 드러난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군자는 반드시 그 홀로일 때를 삼간다.”

 조선 중기 학자 장유(張維, 1587~1638)는 대학(大學)의 ‘홀로일 때를 삼가라’는 뜻을 가지고 다음과 같이 잠(箴)을 지었습니다. “깊숙한 방 안, 아무 소리 없는 곳. 듣고 보는 이 없어도 신(神)이 너에게 임하고 있다. 나태함을 경계하고 삿된 생각 막아내라. 처음에 막지 못하면 하늘까지 넘실대리니. 하늘 아래 땅 위에 누가 나를 알겠냐고 말하지 말라. 누구를 속일 수 있겠는가? 사람이 되려는가, 짐승이 되려는가? 길하려는가, 흉하려는가? 깊숙한 방구석을 내 스승 삼아야지.”

 사회적으로 번듯한 자리에 앉아 있는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곳에서 벌이는 추태로 세상이 떠들썩합니다. 하늘 무서운 줄 모르고 거들먹거리고, 사람 귀한 줄 모르고 함부로 대하다가 추태가 드러나면 오리발을 내미느라 바쁩니다. 부끄러운 일인 줄은 아는 모양입니다.  세상의 눈은 속일 수 있다 해도 자기 자신의 양심은 속일 수가 없습니다. 제 양심을 속일 수 없는데 세상의 눈을 속인들 뭐하겠습니까? 세상의 눈보다 더 무서운 건 두 눈 부릅뜬 제 양심의 눈입니다.

                              고전포럼   하승현님  글

 

 그때를 아십니까 ?  

여기를 클릭하세요    (37편) 보릿고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