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을사. 정미 사화(乙巳. 丁未 士禍) 6. 을사. 정미 사화(乙巳. 丁未 士禍) 을사사화(乙巳士禍) : 1545년(명종 원년)에 왕실의 외척(外戚)인 대윤(大尹)과 소윤(小尹)의 반목으로 일어난 사건이다. 세자(世子:인종)의 외숙(外叔)인 윤 임(尹任)일파의 대윤과 경원대군(慶原大君:명종)의 외숙인 윤원형(尹元衡)일파의 소윤 사이에 왕위 계승을 둘.. 역사자료 2008.05.08
5. 기묘. 신사 사화(己卯. 辛巳 士禍) 5. 기묘. 신사 사화(己卯. 辛巳 士禍) 기묘사화 : 1506년(연산군 12)에 일어난 무오 갑자사화의 연장된 사화로서, 무오. 갑자사화때 화(禍)를 입지 않고 빠진 사람들에게 죄를 가하기 위하여 일어난 사건이다 신사사화 : 1519년 (중종 14)에 남 곤(南袞) 심 정(沈貞)등 훈구파의 재상(勳舊派 宰相)들이 당시 새.. 역사자료 2008.05.08
4. 병인 사화(丙寅 士禍) 4. 병인 사화(丙寅 士禍) 1506년(연산군 12)에 일어난 무오. 갑자사화의 연장된 사화로서, 무오. 갑자사화때 화(禍)를 입지 않고 빠진 사람들에게 죄를 가하기 위하여 일어난 사건이다 사화 순절신(士禍 殉節臣) 강경서(姜景敍-晉州):號草堂. 執義. 金宗直 門人 강응정(姜應貞-晉州):號中和齋. 신영복(辛永.. 역사자료 2008.05.08
3. 갑자 사화(甲子 士禍) 3. 갑자 사화(甲子 士禍) 1504년(연산군 10)에 연산군의 어머니인 윤씨(성종의 비)의 복위(復位)문제로 연산군이 일으킨 사건이다. 요약 : 연산군의 어머니인 尹씨는 평소에 질투가 많아서 폐비(廢妃)가 되었다가 사사(賜死)되었는 데, 여기에 많은 선비들이 관련되어 있었다. 이에 야심만만했던 임사홍(任.. 역사자료 2008.05.08
2. 무오 사화(戊午 士禍) 2. 무오 사화(戊午 士禍) 1498년(연산 4)에 김일손(金馹孫) 등 신진사류(新進士類)가, 유자광(柳子光)을 중심으로 한 훈구파(勳舊派)에 의하여 화(禍)를 입은 사건이다. 요약 : 당시 성종실록(成宗實錄)의 편찬이 시작되자 사관(士官)이었던 김일손이, 훈구파의 비행과 스승인 김종직(金倧直)의 조의제문(弔.. 역사자료 2008.05.07
1. 계유(癸酉). 병자사화(丙子士禍) 1. 계유(癸酉). 병자사화(丙子士禍) 1453년 (단종 1)에서 1456년(세조 2)에 걸쳐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端宗)을 축출하고, 왕위에 오르면서 절개있는 신하들에게 화(禍)를 입힌 사건이다. 요약 : 12세의 어린 나이로 단종이 즉위하였지만, 숙부인 수양대군은 왕위찬탈(王位簒奪)의 야심을 품고 김종서(金.. 역사자료 2008.05.07
高麗末 杜門諸賢 高麗末 杜門諸賢 조선 건국으로 고려가 망하자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로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거나 산야에 은거하여 이성계(李成桂)의 朝鮮에 충성하지 않고 순절(殉節)한 고려의 유신들(註 : 杜門諸臣은 모두 72인으로 알려졌으나 확실한 명단은 없고 각종 자료를 바탕으로 다음.. 역사자료 2008.04.26
朝鮮時代의 文人 朝鮮時代의 文人 입재 강재항(立齋 姜再恒 : 晉州) 1689-1756 字 久之. 號 立齋. - 尹 拯의 門人. 동곽 강 찬(東郭 姜 燦 : 衿川) 1557-1603 字 德輝. 號 東郭 - 李 珥. 宋翼弼의 門人. 해은 강필효(海隱 姜必孝 : 晉州 初名 世煥). 1764-1848 字 仲順. 號 海隱. - 尹光紹의 門人. 수은 강 항(睡隱 姜 沆 : 晉州) 1567-1616 字 .. 역사자료 2008.02.15
28. 부사공신-수충분의갈성효력부사공신(輸忠奮義竭誠效力扶社功臣) 부사공신 수충분의갈성효력부사공신(輸忠奮義竭誠效力扶社功臣) 1722년(경종 2)에 일어난 임인 옥(任寅 獄)때 옥사를 밝히고 관련자의 죄를 다스린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勳號. 1725년 공신호를 삭제하였다. 一等 功臣 二等 功臣 三等 功臣(輸忠奮義扶社功臣) 睦虎龍 처음에는 중종 때.. 역사자료 2008.02.11
27. 형난공신-분충병의결기협모형난공신(奮忠秉義決幾協謨亨難功臣) 형난공신 분충병의결기협모형난공신(奮忠秉義決幾協謨亨難功臣) 1612년(광해군 4) 2월에 봉산군수 신 율(申 慄) 등이 당시 황해도에 있던 성균관학유 김직재(金直哉), 백합(百緘) 부자가 역모를 주동하였다고 무고함에 따라 "김직재의 옥"이 일어나게 되고, 이를 다스리는데 공이 있던 사람.. 역사자료 2008.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