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제일(忌祭日) 및 시간(時間)
기제(忌祭)란 사람이 죽은날, 즉 기일(忌日)에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3년상을 치른 경우의 기일은 그 이후부터가 된다.
예문에는 별세한 날 자시(子時)에 행사한다고 되어있다. 자정(밤 12시)부터 인시(새벽 5시)까지 날이 새기 전 새벽에 기제를 올리는 것이 예이다. 요즘은 형편에 따라서 돌아가신 당일 일몰 이후(오후)에 지내기도 한다(子時라 함은 여기서는 돌아가신 날의 전날 오후 11시부터 돌아가신 날의 오전 1시 임)
간혹 기제일을 잘못 알고 별세한 전일 저녁 7~8시경에 지내는 사람이 있는데 기제는 별세한 날에 지내는 제사이므로 별세한 전일에 지내는 것은 잘못이다.
축문에 보면 휘일부림(諱日復臨)이란 말이 있고, 이 뜻은 "돌아가신날이 다시돌아오니"라는 뜻이다.
신도(神道)는 음(陰)이라 하여 늦밤 중에 활동을 하여 닭소리가 나기전에 돌아가야 한다는 말이 있는데 이 말은 예문에 없는 미신적인 말이다.
궐명행사의 예문정신은 돌아가신 날이 되면 제일 먼저 고인의 제사부터 올리는 정신을 강조한데 있다고 본다. 그러나 오늘날과 같은 사회구조와 생활여건에서 볼 때 한 밤중 제사는 가족들이 핵가족화 되어서 분산거주하여 참석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음날 출근과 활동에는 지장이 많아진다.
그래서 근래의 가정의례준칙을 보면 별세한 날 일몰 후 적당한 시간에 지내게 되어 있다. 이 시간이면 사업하는 분이나 회사에 근무하는 분이나 공무원이나 다 집에 돌아오는 시간이며 제관들이 모이기 좋은 시간이어서 도시에서는 저녁 7~8 경에 행사하는 집들도 많이 있다.
'제례 범절 > 제례. 상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수와 진설 (0) | 2007.01.15 |
---|---|
제수의 종류 (0) | 2007.01.15 |
제사(祭祀)의 대상 (0) | 2007.01.15 |
제주(祭主)와 참사자(參祀者) (0) | 2007.01.15 |
제사의 구분 (0) | 2007.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