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수의 종류
熟菜 - 나물은 地上菜 2品과 地下菜 2品을 쓰는 것이 보통이다.
沈菜 - 1器를 쓰는 것이 보통이다.
造果 - 유과 또는 약과 등 여러 가지를 쓰기도 한다.
果實 - 대추, 밤, 배, 감, 은행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偶數로 쓰는 집도 있고 奇數로 쓰는 집도 있다. 놓는 차례도 대추, 밤, 배, 감, 기타 과실의 순으로 한다
脯 - 魚脯 혹은 肉脯를 쓴다.
醯 - 식해는 오른편에 쓴다.
醋 - 초를 쓴다.
餠 - 떡은 오른편에 쓴다.
炙 - 육물, 생선 등으로 구어서 만들고 하나, 셋, 다섯 가지로 형편에 따라 쓴다.
湯 - 육물, 생선, 굴, 대합, 두부 등으로 만들되 단 탕, 삼 탕, 오탕 으로 형편에 따라 쓴다.
이것만은 주의하여야 한다.
1. 복숭아나 탈이 있는 과일은 상에 올리지 않는다(귀신을 몰아낸다는 뜻이 있다).
2. 갈치, 꽁치, 넙치 등 "치"자가 들어가는 생선은 쓰지 않는다.
3. 비늘이 두꺼운 생선(잉어, 붕어 등)은 상에 올리지 않는다.
4. 향이 강한 양념(고추가루, 마를 등)은 상에 올리지 않는다.
5. 음식의 멋은 소금으로 낸다(간장을 쓰지않는다)
6. 제수의 많고 적음보다는 그 정성에 치중하여 준비하여야 한다.
제수와 진설.
제수를 갖추는데는 각 가정의 형편에 따라 다르고 동일할 수 는 없는 것이지만 옛날부터 쓰여져 내려온 제수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다음의 祭饌圖에서 본다면 제사 지내는 신위를 향하여 우편을 동쪽, 좌편을 서쪽이라 하여 다음과 같은 위치로 진설한다.
제사상 차리기(기본)
男左女右(남좌여우) - 신위는 제상의 왼쪽에 남자(考位), 오른쪽 여자(妣位)
左飯右羹(좌반우갱) - 밥은 왼쪽에 국은 오른쪽에 놓는다.
匙楪居中(시접거중) - 수저를 담은 그릇은 신위의 앞 중앙에 놓는다.
餠東麵西(반동면서) - 떡은 동쪽에, 국수는 서쪽에 놓는다.
紅東白西(홍동백서) - 紅東白西, 棗栗梨枾로 쓴다. 造果는 중앙에 놓는다(左紅右白을 쓰는 가문도 있음)
左脯右醯(좌포우혜) - 포는 좌편에 식혜는 우편에 놓는다.
生東熟西(생동숙서) - 생물은 동쪽에 익힌 것은 서쪽에 놓는다.
乾左濕右(건좌습우) - 마른 것은 왼쪽에, 젖은 것은 오른쪽에 놓는다.
魚東肉西(어동육서) - 어물은 동편에 놓고 육물은 서편에 놓는다.
東頭西尾(동두서미) - 생선의 머리는 동편을 향하게 하고 꼬리는 서편을 향하게 한다.(반대로 서두동미로 놓는 집도 있음)
天産陽數(천산양수) - 하늘에서 나는 것은 홀수이고,
地産陰數(지산음수) - 땅에서 나는 것은 짝수로 놓는다.
합설진찬도(合設陳饌圖)
|
북쪽(北向) |
| ||||||||||||||||||||||||||
|
서(西) |
좌(左) |
|
우(右) |
동(東) | |||||||||||||||||||||||
|
|
神位 |
| |||||||||||||||||||||||||
|
|
고考 위位 |
비妣 위位 |
| ||||||||||||||||||||||||
|
|
메 (飯) |
국 (羹) |
잔 (盞) |
시접 (匙楪) |
잔 (盞) |
메 (飯) |
국 (羹) |
| |||||||||||||||||||
4行 |
면 (麵) |
떡(餠) 초밀채(醋密菜) |
적 (煎) |
면 (麵) |
떡(餠) 초밀채(醋密菜) | |||||||||||||||||||||||
3行 |
육탕 (肉湯 |
양탕 (羊湯 |
계탕 (鷄湯) |
어탕 (魚湯) |
홍합탕 紅蛤湯 |
육적 (肉炙) |
육탕 (肉湯 |
양탕 (羊湯 |
계탕 (鷄湯) |
어탕 (魚湯) |
홍합탕 紅蛤湯 | |||||||||||||||||
間行 |
쇠머리고기 (熟肉 |
고기부침 (肉煎) |
회간 (膾肝) |
생선부침 (魚煎) |
해삼 (海蔘) | |||||||||||||||||||||||
2行 |
익힌나물 (熟菜) |
생나물 (生菜) |
초장 (醋醬) |
간장 (淸醬) |
김치 (沈菜) |
김 (海衣) |
조기 (魚醢) | |||||||||||||||||||||
1行 |
포 (脯) |
대추 (棗) |
밤 (栗) |
감 (枾) |
마른과자 (乾正果) |
수정과 (水正果) |
배 (梨) |
호도 (胡桃) |
다식 (茶食) |
식혜 (食醯) | ||||||||||||||||||
|
|
안향 (案香) |
|
진찬(陳饌)
대개 다음의 규칙이 적용된다.
제 1행 : 포(脯). 과품류(果品類).
제 2행 : 채소(菜蔬). 장류(醬類).
간 행 : 갈납.
제 3행 : 앞줄 - 탕류(湯類). 뒷줄 - 떡. 면류(麵類).
제 4행 : 메(飯). 국(羹). 시접(匙楪). 잔(盞).
'제례 범절 > 제례. 상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제사의 절차(忌祭祀의 節次) (0) | 2007.01.16 |
---|---|
제수와 진설 (0) | 2007.01.15 |
기제일(忌祭日) 및 시간(時間) (0) | 2007.01.15 |
제사(祭祀)의 대상 (0) | 2007.01.15 |
제주(祭主)와 참사자(參祀者) (0) | 2007.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