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祭主)와 참사자(參祀者) 제주(祭主)와 참사자(參祀者) 별세(別世)하신 전일(前日)이 입재일(入齋日)이고 별세(別世)한 날이 기일(忌日)로서 정재일(正齋日)이며 그 다음날이 타재일(타齋日)이다. 이 삼일간은 재계(齋戒)를 해야한다. 제주(祭主) 입제일(入齋日)에는 제주(祭主)와 주부(主婦)가 목욕재계(沐浴齋戒)하고 음주(飮酒).. 제례 범절/제례. 상례 2007.01.16
진찬의(陳饌儀) - 坡平尹氏大宗中 홀기(笏記) - 진찬의(陳饌儀) - 坡平尹氏大宗中 홀기(笏記)에 依함 - 진찬의는 제수를 제상에 진설하는 예의를 말함. 진찬의를 세일사(歲一祀) 때는 홀기(笏記)를 집례자(執禮者)가 읽고 집사자(執事者)가 이에 따라 진설하나 기제(忌祭) 때는 읽지 않고 집사자가 진설함도 가함) 궐주인이하서립(궐主人.. 제례 범절/제례. 상례 2007.01.16
제 의(祭 儀) -坡平尹氏大宗中 笏記- 제 의(祭 儀) -坡平尹氏大宗中 笏記에 依함- 주인이하서립(主人以下序立) 主人은 祭主이니 큰아들, 즉 長孫을 말함이고 序立이란 神位 앞에 서라는 뜻이다. 長孫이 불참시는 장손에 가까운 사람 즉 次子 또는 姪(조카)가 대행하며(축문에는 將事使某(祭主) 敢昭告于) 세일사(歲一祀)에서는 .. 제례 범절/제례. 상례 2007.01.16
기제사의 절차(忌祭祀의 節次) 기제사 절차(忌祭祀 節次) 강신(降神) : 강신이란 신위께서 강림(降臨)하시어 음식을 드시기를 청한다는 뜻이다. 강신은 제주(祭主) 이하 모든 참사자가 차례대로 선 뒤 제주가 신위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 분향(향을 피움)하고 동집사(東執事)가 술을 따라 제주에게 주면, 제주는 잔을 받아.. 제례 범절/제례. 상례 2007.01.16
제수와 진설 제수의 종류 熟菜 - 나물은 地上菜 2品과 地下菜 2品을 쓰는 것이 보통이다. 沈菜 - 1器를 쓰는 것이 보통이다. 造果 - 유과 또는 약과 등 여러 가지를 쓰기도 한다. 果實 - 대추, 밤, 배, 감, 은행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偶數로 쓰는 집도 있고 奇數로 쓰는 집도 있다. 놓는 차례도 대추, 밤, 배, 감, 기타 과.. 제례 범절/제례. 상례 2007.01.15
제수의 종류 제수의 종류 熟菜 - 나물은 地上菜 2品과 地下菜 2品을 쓰는 것이 보통이다. 沈菜 - 1器를 쓰는 것이 보통이다. 造果 - 유과 또는 약과 등 여러 가지를 쓰기도 한다. 果實 - 대추, 밤, 배, 감, 은행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偶數로 쓰는 집도 있고 奇數로 쓰는 집도 있다. 놓는 차례도 대추, 밤, 배.. 제례 범절/제례. 상례 2007.01.15
기제일(忌祭日) 및 시간(時間) 기제일(忌祭日) 및 시간(時間) 기제(忌祭)란 사람이 죽은날, 즉 기일(忌日)에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3년상을 치른 경우의 기일은 그 이후부터가 된다. 예문에는 별세한 날 자시(子時)에 행사한다고 되어있다. 자정(밤 12시)부터 인시(새벽 5시)까지 날이 새기 전 새벽에 기제를 올리는 것이 .. 제례 범절/제례. 상례 2007.01.15
제사(祭祀)의 대상 제사(祭祀)의 대상 근세에 와서는 유교사상으로 조상에 대한 존경과 애모의 표시로 변하게 되어 가정마다 제사를 드리게 되었다. 그러나 봉사대상은 시대에 따라 변천되어 왔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공민왕 2년에 포은 정몽주 선생이 제정한 제례규정에는 대부(大夫) 이상의 관원은 삼.. 제례 범절/제례. 상례 2007.01.15
제주(祭主)와 참사자(參祀者) 제주(祭主)와 참사자(參祀者) - 재계(齋戒)- 별세(別世)하신 전일(前日)이 입재일(入齋日)이고 별세(別世)한 날이 기일(忌日)로서 정재일(正齋日)이며 그 다음날이 파재일(罷齋日)이다. 이 삼일간은 재계(齋戒)를 해야한다. 제주(祭主) 입제일(入齋日)에는 제주(祭主)와 주부(主婦)가 목욕재.. 제례 범절/제례. 상례 2007.01.15
제사의 구분 제사의 구분 祭祀에는 忌祭, 節祀, 墓祭와 其他祭가 있으며 區分은 다음과 같다. 우제(虞祭) : 우제는 신주(神主)를 위안 시키는 제사(祭祀)이며 초우(初虞) 재우(再虞) 삼우(三虞)의 세가지 제가 있다. 시제(時祭) : 철(계절)을 따라 일년에 네번 종묘(宗廟)에서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묘제(.. 제례 범절/제례. 상례 2007.01.15